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는 미디어센터 상영관 및 방송을 통해 각 지역미디어센터의 교육, 제작지원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 시민제작영상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시민제작영상을 보고 소개하는 일을 하면서, 시민제작영상은 주류 미디어와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는 영상과는 또 다른 고유 장르로 충분히 인식될 수 있는 콘텐츠임을 느낍니다.
지역의 이야기와 시민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시민제작영상의 소개가 활성화 되어, 시민영상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시민영상 제작이 보다 확대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2021 시민제작영상 소개 프로그램
<방방곡곡동네TV>,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
김예은, 정윤영(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영상문화지원팀)
1. 2021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작품현황조사
지난 2월,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이하 전미협) 영상문화지원팀에서는 지역미디어센터에서 제작되는 영상의 체계적 아카이빙을 위한 작품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본 조사는 센터에서 제작되는 시민제작영상의 규모와 방식을 파악하고, 이를 지표로 삼아 다양한 연구 및 상영회 등에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작품명 / 제작자(팀)명 / 시놉시스 / 분류(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기타) /
상영시간/ 제작년도 / 제작방식(제작지원영상, 교육결과영상, 기타) / 세부사항(사업명)
|
2019-2020년 제작 작품에 한정해 조사를 하였고, 14개 지역미디어센터에서 참여하였습니다. 올해의 경우, 조사 첫 단계다보니 참여한 센터의 수가 적기도 하였고, 또 비교 대상이 2019-2020년에 한정되어 여러모로 유의미한 통계 자료가 되기에 다소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본 조사가 지속되어 데이터가 꾸준히 누적된다면 시민영상의 제작 방식과 경향성 등을 가늠하고 보다 세부적인 분석과 연구의 자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분석해 볼 수 있는 내용과 향후 추가로 필요한 조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작 방식에 따라 시민제작영상이 만들어지는 토대와 그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고, 경향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2019-20년만 살펴본다 하더라도 코로나19로 센터의 사업 및 동호회 모임 등이 현저히 줄어들어 시민제작영상 또한 감소하였을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오히려 2020년에는 전국적으로 마을미디어 단체들의 활동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 센터가 휴관을 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이 강화되는 시기에도, 지역/마을 단위에서 소규모 모임을 통해 당면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고민,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등을 영상으로 제작한(27개의 코로나19 관련 작품) 사례가 있었습니다. 이것을 통해 센터 내의 제작 동호회, 마을 미디어 단체 등의 활동이 단순히 영상 제작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는 과정으로 이어진다고 해석해 볼 수 있었습니다.
2) 제작 주체 : 각 작품이 만들어지게 된 프로그램을 확인함으로써, 세대별 제작자 파악이 가능하였습니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결과물인 경우, 아동, 청소년, 노인과 같이 대상이 명확한 교육을 통해 나온 작품과, 이를 아우른 성인/일반 대상의 교육이 있었습니다. 각 주체별로 작품을 나누고 추가적으로 ‘시놉시스’, ‘키워드’ 분석을 병행한다면, 세대별/주체별 이슈와 관심사를 파악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본 현황조사를 매년 꾸준히 지속할 경우 ‘키워드’ 분석을 통해 시민 중심의 시대별/지역별 이슈를 정리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3) 작품 장르 : 제작된 영상 중 가장 큰 비중 차지하는 것은 단연 극영화와 다큐멘터리였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마을미디어로 제작되는 토크쇼, 지역 소개 프로그램과 브이로그 등의 강세가 이어진다면 이를 보다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조사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나 동호회의 성격, 세대나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장르에 대한 분석 또한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데이터의 수집, 분석은 일차적으로는 미디어센터에서 제작된 영상의 현황과 성격을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나아가 센터의 제작, 교육, 마을미디어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연구의 토대가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매년(2월 경) 전년도의 작품 조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려고 하오니, 각 지역미디어센터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본 현황조사는 시민제작영상의 아카이빙 및 제작/교육 연구 외에도, 전미협의 시민제작영상 유통·배급 사업 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전미협이 주최·주관하는 시민제작영상 소개 프로그램 참여에 보다 편리한 절차를 구축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습니다. 물론 여기까지 가기 위해서 전미협은 영상 배급의 취지와 목적, 활용 방안 등을 명확히 하고, 작품리스트 외에도 출품 동의서, 작품 파일 등 추가적인 자료 수집을 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각 센터, 스태프, 제작자의 동의와 협조가 필요하며, 품이 많이 드는 일이기에 앞으로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유통,배급 절차의 기초를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전미협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시민제작영상 소개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SK브로드밴드(이하 SKB) 지역채널의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방방곡곡동네TV>를 통해 센터에서 제작된 시민제작영상을 전국 단위로 방영하는 사업입니다. 다른 하나는 전국의 지역미디어센터 상영관, 영상문화활동가 모임을 통해 서로 다른 지역의 시민제작영상을 소개하고, 제작자를 초청하여 지역 제작자간 교류를 도모하는 프로그램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입니다. 이번 뉴스레터 지면을 빌려 두 프로그램을 간단히 소개·홍보하고자 합니다.
2.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 SK브로드밴드 <방방곡곡동네TV>
<방방곡곡동네TV>는 2016년 5월 30일부터 <시민영상나르미>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6년차 장수 프로그램의 새로운 이름입니다. <시민영상나르미>로 총 128회, 276개의 작품이 방영되었고, 올해 5월 31일부터 <방방곡곡동네TV>로 프로그램명을 변경하여 1회로 새로이 시작하였습니다. <방방곡곡동네TV>에 함께할 시민제작영상을 추천해주세요!
1) 방영절차
(센터) 작품 추천 ▶ (전미협) 방영본 제작 ▶ (SKB) 심의 및 편성 ▶ (전미협) 시청 방법 안내
|
2) 방영작 기준
- 24분 이내의 작품으로,
- 극영화/다큐멘터리/애니메이션/브이로그 등 장르의 제한이 없으며,
- 미디어교육 결과물, 제작지원작 등 시민제작영상이라면 주제·소재의 제한 없이 방영이 가능합니다.
- 단, 본 프로그램은 전체관람가로 방송 심의 규정을 따르고 있습니다.
3) 시청방법
- SKB 케이블TV 지역가입자의 경우 채널1번에서 시청이 가능합니다.
- 그 외 지역에서는 홈페이지 또는 휴대기기를 통하여 시청 가능합니다.
< 매체별 시청 가이드 보기 ▶ 4- 방방곡곡동네TV_매체별 시청 가이드.pdf>
4) 편성시간표
전국 SKB 케이블TV에서 1주 또는 2주간 방영됩니다. 지역별로 방영일자, 시간, 횟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회마다 방영시간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 편성시간표는 회별로 출품 센터 및 제작자분들께 별도로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편성표 바로보기 ☞ SKBroadband 지역채널 홈페이지)
5) 문의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영상문화지원팀 김예은, 02-6325-6434, yeah8318@naver.com
3. 2021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
시민제작영상 상영 플랫폼 활성화와 타 지역의 시민제작자 및 상영활동가 간의 교류를 도모하는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은 지난 뉴스레터 9호에서 소개한 적이 있으나, 올해 6월 공모를 예정하고 있어, 다시 한 번 홍보에 나서봅니다! 우리 센터에서만 보기 아쉬운 작품이 있는 스태프, 관객을 찾아 소통하고 싶은 창작자, 우리와 비슷한 이슈로 고민하는 작품을 찾고 싶은 활동가,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을 주목해주세요!
1) 출품 조건
- 지역미디어센터와 연계된 비전문 시민영상제작자(팀)가 제작한 영상
- 2020년에 제작된 작품에 한함
- 센터별 최대 5개 작품 출품 가능 (※ 추천 작품 순서별로 출품 신청서 작성)
2) 출품 일정
- 2021년 6월 16일(수) - 6월 30일(수) (15일간)
3) 출품작 활용 일자·장소·프로그램
- 일자 : 2021년 7월 ~ 2021년 12월
- 장소 : 지역미디어센터 상영관 및 지역 상영 공간
- 프로그램 : 지역미디어센터 상영회, 영상제, 교육프로그램, 동호회 모임 등
4) 출품작 활용 계획
- 제출 자료는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 카탈로그 제작과 홍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출품작은 2021년 <지역미디어센터 시민제작영상 공동상영전>을 통해 기획된 지역미디어센터 상영회 및 기타 프로그램에서 상영될 수 있습니다.
- 상영·초청 시 제작자 대표에게 별도의 연락을 드리며, 소정의 사례비를 지급합니다.
5) 출품 시 필요 서류 및 파일 (양식 및 업로드 주소 : 영상문화지원팀 문의)
제출서류 및 파일
|
제출방법
|
- 출품신청서(엑셀파일)
- 출품동의서(한글파일)
- 개인정보활용동의서(한글파일)
|
- 이메일 제출
- krmediaculture@gmail.com
|
- 극장상영이 가능한 형태의 파일
- mp4, mov권장
|
- 웹하드(NAS) 업로드
|
6) 유의사항
모든 상영과 관련하여 제3자로부터 제기되는 “작품” 관련 초상권·저작권 분쟁에 대한 책임은 제작자에게 있으며, 이에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는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총 공모 작품의 수에 따라 출품한 작품이 상영회 프로그램 섹션 구성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7) 문의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영상문화지원팀 정윤영, 02-6325-6430, krmediaculture@gmail.com